15-A-서술4
암석이 변성작용을 받을 때,
1)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광물들이 재배열하거나(엽리)
2) 재결정 작용이 일어나며,
3) 새로운 광물(변성광물)이 생성되기도 합니다.
따라서 (가), (나) 둘 다 엽리가 보이므로 변성암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, 비교적 결정들의 크기가 큰 (가)가 변성을 더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
석류석은 무색광물, 광학적 등방체이므로 개방니콜에서는 무색으로 보이며, 결정형, 벽개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.
직교니콜에서는 복굴절을 하지 않아 완전소광이므로 관찰할 수 없습니다.
이를 답안지에 작성해보면
(가)와 (나)에서 엽리가 보이므로 둘 다 변성암으로 판단할 수 있다. 또한 변성과정에서 재결정 작용이 일어나는데, (가)의 결정들이 (나)보다 더 크므로 (가)의 변성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.
석류석은 무색, 광학적 등방체이므로 개방니콜에서는 결정형, 벽개 등을 관찰할 수 있으며, 직교니콜에서는 복굴절 하지 않아 완전소광이므로 관찰할 수 없다.
정도로 쓸 수 있습니다.
참고
광학적 등방체란 빛이 광물을 통과할 때, 모든 방향에서 같은 속도로 통과하는 물질을 말합니다.
블로그의 정보
지호와 함께하는 지구과학임용
빡죠
댓글
작성 필드